밴더빌트 가문의 유산

미쿡은 18세기 남북전쟁이 끝나고 본격적으로 산업화(모 문제사이트 ㅇㅂ 와는 관계없는 용어)가 진행되고, 이에 따라서 돈을 갈쿠리, 아니 불도저로 긁어담아대는 넘들이 생기게 되었다. 이런 인간들 중에서 대표적인 3인방 3대장을 본다면

기름짱 John D Rockefeller (1839-1937)

Image

흔히 국내에서는 ‘록펠러’ 라고 읽는데 뉴욕가서 ‘록펠러 센터’가려고 ‘록펠러’라고 발음하면 유감스럽게도 잘 못알아듣는다.  아무도 못알아 듣는다. ‘롸커풰~엘러’ 라고 해야함..;;;;

철강짱 Andrew Carnegie (1835-1919)

Image

철도짱 Cornelius Vanderbilt (1794-1877)

Image

이들은 서로 다른 사업분야에 종사했지만 공통점이 있다면 ‘피도 눈물도 없이’ 경쟁업체를 말려죽어서 해당 산업계를 독점하게 되어서 소위 말하는 독점자본주의의 폐혜를 미쿡민들에게 절감하게 했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이렇게 재벌들이 아무런 규제없이 무소불위의 권력을 누리면서 대자본을 축적하던 19세기 중엽부터 20세기 초까지를 소위 ‘Gilded Age‘ 라고도 부른다. 당연히 노동자들의 생활은 극히 피폐했으며 아동노동등의 각종 문제가 속출.

Mill_Children_in_Macon_2

손발이 부족하다 ㅠㅠ

이런 재벌의 위세는 여러가지 사회문제를 낳게 되었고, 자본가에 대한 반감 역시 고조되었다. 따라서 산업계를 독점하는 재벌의 횡포를 막기 위한 국가차원의 제제가 행해지게 되었고 1890년 반독점법 (Sherman Antitrust Act) 이 제정되게 되었고, 반독점법에 의한 재벌의 규제의 상징적인 사건은1911년 당시 미쿡 석유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었던 Rockerfeller의 Standard Oil 이 34개의 작은 회사로 쪼개지게 되었다. 현재도 남아있는 미쿡 기름회사 ExxonMobile, Chevron과 같은 회사들은 그 전신이 Standard Oil 에서 쪼개진 회사. 그러나 롸커풸러 아저씨가 스탠다드 오일이 쪼개진 이후에 주식값 상승으로 재산을 더 불렸다는 것은 그것도 아이러니

어쩄든 이들이 죽은지 백여년이 지난 지금에 있어서 이들이 창업한 회사들은 시류에 떠밀려서 다른 회사에 병합되는등등의 우여곡절을 겪었고, 거의 산업계에서 이들의 이름을 상징하는 것들은 그다지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카네기나 록펠러의 경우에는 다른 식으로 이름이 남아 있는데, 가령 앤드류 카네기는 미국 방방곡곡에 세운 도서관, 뉴욕의 공연장인 카네기 홀, 혹은 카네기 멜론대학의 이름으로 아직까지도 남아있고, 록펠러는 뉴욕의 관광명소인 록펠러 센터, 그리고 생명과학자라면 누구나 다 아는 Rockefeller University 정도로 기억되고 있다.

그런데 밴더빌트는?…..아마 밴더빌트의 이름을 들어봤다면 테네시주에 있는 밴더빌트 대학 (Vanderbilt University) 정도일 것이다. 만약 이 대학이 없었다면 밴더빌트의 이름은 지금 현재는 ‘걔 누규?’ 로 인식될 것이 뻔했을 듯. 한때 미쿡의 철도를 거의 지배하다시 했고 지금으로 치면 빌게이츠, 워렌 버핏 정도의 재산가로 인식되던 당시의 위상에 비해서 지금의 이미지는 참으로 보잘것 없는 게 사실이다.

New_York_Central_Railroad_system_map_(1918)

1918년 밴더빌트 가문이 소유한 철도회사 중 하나인 New York Central Railway가 지배하던 철도망

록펠러와 카네기의 이름이 아직도 알려진 것에 비해서 밴더빌트가 듣보잡화된 이유라면 크게 2가지가 있는데,

1. 재산을 바리바리 자식들에게 물려줬고,

2. 자식들은 눈먼돈을 왕창왕창 써줬습니다. 어디에? 집 짓는데 ㅋ

밴더빌트가의 후손들은 코넬리우스 벤더빌트로부터 물려받은 막대한 재산을 가지고 미쿡 방방곡곡에 집 짓는데 몰두했다. 일단 밴더빌트가의 본진이라고 할 수 있는 뉴욕 맨해턴에 수십개의 대저택들을 지었다.

Cornelius_Vanderbilt_II_House

맨하탄 57번가에 있었던 손자 코넬리우스 밴더빌트 2세의 ‘살림집’

ResVanderbilt

5번가에 있던 아들 William H. Vanderbilt 의 맨션.

뭐 이런식으로 맨해튼 중심가에 일가친척들 수십명이 다 으리으리한 맨션을 서로 경쟁삼아 지었다. 심시티 돋네

이건 살림집이고 ㅋ 별장은 별도죠. 안그래여? 로드아일랜드 지역에 보면 원래 살림집을 능가하는 크기로 여름별장을 지었는데

The_Breakers_Newport

여기는 이 글 쓰는 이 블로그 주인도 가본 적이 있다. ㅋ 위치는 절벽 위에 뒷마당으로 한 수천평 되는 잔디밭이 펼쳐져 있는 명당자리이고, 방마다 무슨 프랑스에서 뜯어온 가구와 미술품이 그득, 특정한 방은 아예 프랑스에 있는 무슨무슨 성의 내부를 다 뜯어왔네 어쩌구. 근데 같이 동행한 부모님이 한마디. “근데 어째 우리가 유럽에 관광 갔을때 본 궁전 짝퉁같네”

별장도 여기만 지은 게 아니라, 아예 미쿡 전역에 다 지어놨다.

Biltmore_Estate_(trimmed)

미쿡_재벌의_흔한_시골_별장.jpg (노스캐롤라이나 소재)

Rough_Point,_Newport_RI

어느_미쿡재벌의_조그만_오두막.jpg

부동산 블로그도 아니고..아무튼 밴더빌트의 후손들은 미쿡 전역에 걸쳐서 이런 집을 수십채 지으면서 조상님 은덕을 만끽하셨다. 자세한 리스트는 여기 참조.그러나 화무십일홍 (花無十日紅)이라고 할까? 20세기 중엽에 걸쳐서 밴더빌트 가문의 가세는 점점 흔들리게 되는데, 두 가지의 결정적인 요인이 있었다.

1. 대공황.

2. 미국에서의 철도의 쇠락.

즉, 대공황으로 주식가격 폭락크리를 한번 맞으시고, 2차세계대전 이후 아이젠하워의 미국 전역의 고속도로 건설 (아마도 군생활시에 독일에서 본 아우토반에 꽂히신듯)에 의하여 자동차가 북미에서 교통수단의 중심이 되면서 철도를 중심으로 하고 있던 밴더빌트 가문은 점점 쇠락하기 시작하였다. 맨하턴 5번가에 들어섰던 밴더빌트 가문의 저택들은 하나둘씩 팔려나가서 헐려버렸고, 소유하고 있던 철도회사들은 다른 철도회사들과 합병 매각을 거치면서 밴더빌트 가문의 회사에서의 지배력은 점점 감소되었다. 일부 후손들은 유산으로 받은 대저택을 유지할 길이 없어서 이를 아예 지역사회에 관광자원으로 개방하고, 약간의 지원을 받아서 생활하는 안습의 길로.

그나마 이제 밴더빌트라는 이름이 남아 있게 된 요인인 밴더빌트대학의 경우가 아마 밴더빌트 가문이 행한 사회적인 기부의 전부일텐데, 밴더빌트 대학이 설립될 당시 약 100만불의 기부를 하여, 학교 설립자들이 이름을 붙여준 게 근원. 정작 밴더빌트는 대학이나 기타 자선사업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이 없었고, 대학에 자신의 이름이 붙는지도 모르고 있었다는 게 아이러니.

결국 밴더빌트 가문의 흥망을 살펴보면 왜 현재의 미쿡 부자들이 기부에 집착하는지, 자식에게 경영권을 남겨주는데에 크게 집착하지 않는지를 암시해 주는 거 아닐까?

암튼 4줄 요약.

1. 제 아무리 많은 재산, 현재 산업계에서의 지배적인 위치라고 하더라도 한 100년 지나면 흔적도 없이 사라질 수 있다.

2. 그럴바에는 차라리 현재의 재산을 가지고 자신의 이름을 남기는 것이 더 좋은 ‘투자’일 수 있다.

3. 이런 ‘투자’ 를 하려면 좀 오래남는 것을 만들어라. 자신의 전재산을 몰빵해서 세계최고의 생명과학 연구소를 만든다든지 (쿨럭) 세계 제일의 콘서트홀을 만든다든지 등등.

4. 싫으면 걍 하고 싶은 거 하세염. 아마 밴더빌트가문 후손같이 님 후손들은 님이 남기신 저택 관리로 먹고사실 수는 있을테니.

하워드 휴즈 : 항공기 덕후에서 생명과학계의 영원한 물주까지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HHMI) 라고 들어봤나? 적어도 특정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들어본 이름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재산 161억불 (대충 20조),작년에만 약 7억불의 연구비를 의생명과학계에 투자한 미쿡 최대의 민간 과학서포트 재단이라고 생각하면 됨. 걍 물주 내지 봉 ㅋ

여기서 하는 일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됨.

– 미쿡 전역에서 약 300명의 연구자를 선발하여 연간 약 100만불 정도의 연구비를 주고 ‘너님 맘대로 하고싶은 거 하셈. 다만 과학적으로 중요한 공헌만 하쇼’ 함. 그 외에는 아무것도 간섭하지 않음. 이 연구비를 받는 것은 액수도 액수지만 한마디로 말해서 ‘너님 이제부터 이 업계에서 전국구 스타’ 을 인증하는 것이므로 그 자체만으로 어마어마한 영광임. 여기 소속 연구자 중 노벨상 수상자 21, 미쿡학술원 회원 169.
Screen Shot 2013-07-27 at 1.13.31 AM
과학발전을 가져오는 것은 ‘개인들의’ 힘. 
– 버지니아 인근에 Janellia Farm이라는 직영연구소 운영.

Image

여기의 근본 철학은 이런 것.

People, Not Projects
즉 연구자 개인을 믿고서 그냥 묻지마 지원을 하는 것이지 쫀쫀하게 너 무슨 연구하니, 이거 하면 노벨상 언제 받니, 무슨 이익이 있니 따위를 논하는 게 아니다 그런것은 쪼랩들이나 하는짓 라는 대인배스러운 철학을 가지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Freedom to Explore
너님 뭐 연구하든 자유

Innovation requires a willingness to take risks. We make big bets on bold thinking, giving our scientists and educators freedom to follow their instincts and apply creative approaches to hard problems.

Building Community
연구 잘하는 사람들끼리 잘 모여서 해봐. 기관, 분야 이런거 너무 구애받지 말구.

Hard problems are best confronted by problem-solvers who bring different perspectives to the challenge. We seek out talented people from diverse backgrounds and disciplines and encourage collaborations among people and institutions.

Taking the Long View
장기적인 관점으로 팍팍 밀어줄께

Scientific breakthroughs often emerge only after decades of research on very basic questions, driven by scientists’ curiosity about how living things work. Taking the long view also means inspiring and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of scientific explorers.

A Standard of Excellence
잘하는 애들만 키울꺼임.

Investing in the best people requires rigorous selection and continuous evaluation. We expect our scientists and educators to accomplish goals not possible without our support, and we submit our programs to similarly high standards.

과학자라면 누구나 고개를 끄덕거릴 이런 조직을 만든 사람은 대체 누구야? 근데 하워드 휴즈? 어디서 들어본 이름인데..하시겠지만, 영화를 자주 보신 분이라면 ‘The Aviator‘에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연기한 ‘항공기 덕후 영화제작자’ 를 기억할 것인데, 그게 바로 하워드 휴즈다.

Image
내가 바로 미래의 생물학계의 봉이다

실제는 이렇게 생긴 아저씨
Image

리즈시절
Image

늙어서 히키코모리 되기 직전 삭았어

재벌도 재벌이지만 일단 덕후짓으로 유명한데,

spruce

Spruce Goose, 여태까지 만들어진 가장 큰 비행기 크고 아름답습니다

리즈시절 프로듀싱한 당시 대작 영화 Hell’s Angel

주로 현대인들에게는 말년에 은둔한 괴짜 재벌 정도로 생각되는 인물. 그렇다면 어떻게 항공기 덕후/괴짜 재벌이 생명과학계의 영원한 물주가 되었는가? 여기에는 약간의 필연과 우연이 교차한다.

1. 하워드 휴즈는 어째서인지 어린시절부터 의학연구소를 설립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졌다고 함. 디카프리오가 휴즈로 나오는 The aviator 를 보면 병적으로 결벽증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고 있는데 이것과 관련이 있을지도 모름. 실제로 이사람은 ‘세균공포증’ 비슷한 것이 있어서 여러가지 괴벽들을 보이고 있는데 여기에 대해서는 이런 링크를 읽어보삼

2. 자신의 세균공포증 퇴치 세…세균을 다 씨를 말려버릴꼬야!때문인지  세금 회피를 위해서인지 모르겠지만 1953년 자기 이름을 딴 연구소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를 만듬. 처음 설립했을때는 일년에 약 1-2백만불 정도의 예산을 가진 그닥 큰 규모의 연구소가 아니었음. 휴즈가 연구소의 재단의 유일한 이사.

3. 그러다가 자기 자신이 소유하는 휴즈항공사의 주식을 몽땅 연구소에 증여함. 미국 최대의 군수업체가 세금면제혜택을 받는 비영리 법인이 되버림. ㅋ 세금회피를 위한 수단이라고 IRS와 엄청 싸움.

4. 그러다가 휴즈가 은둔생활을 하다가 1976년 죽음. 자식 없음. 이제 HHMI는 휴즈항공사의 주인이 되버림. 유일한 재단이사였던 휴즈가 죽었고 정부에서 과학자들을 HHMI 재단 이사로 선임함. 그때부터 HHMI의 예산이 급증하기 시작함. 눈먼돈이 요기잉네?

5. 누가 휴즈항공사의 주인인가에 대해서 약 10년 동안 휴즈의 친척들과 열심히 법정공방을 벌였으나 결국 휴즈항공사의 주인은 HHMI라는 것이 판결나고, 그 이후에 HHMI는 휴즈항공사를 1985년 GM에 52억불에 팔아치움. 그래서 그돈으로 연구 올인 ㅋㅋㅋ 그 이후에는 항공기 덕후, 은둔재벌로 알려졌던 하워드 휴즈라는 이름이 엉뚱하게 생명과학계의 영원한 물주가 되버렸다는 것.

즉 어떻게 현재의 HHMI의 문화가 설립되었느냐에 대해서는 설립자인 하워드 휴즈의 철학보다는 그저 눈먼돈을 관리하게 된 과학자들의 역할이 훨씬 컸다는 것을 알수 있다. 눈먼돈은 이렇게 쓰는겁니다. 아핫핫
그러나 어쨌든 지금 현재로써 하워드 휴즈라는 이름을 알리는 것은 이전의 영화, 재산, 항공기, 각종 기행이 아닌 HHMI인 셈임. 즉, 어차피 한 세대도 못갈 재산 자식에게 남겨주느니 그냥 이런데 올인하는 것도 자신의 이름을 자손만대 남기는데는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국내 재벌도 어차피 바리바리 자식들한테 갈라줘봐야 10년도 못버티고 다 털어먹을 것이 명약관화인데  듣고있니 재용군? 지금  너 이야기 하는중이거든? 이럴 거, 그냥 학실하게 재산 올인으로 자기 이름이나 자손만대에 남겨보시는 것은 어떨까.  이것보다 아예 모태쏠로 재벌을 미는 것이 더 나을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