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보도의 출처 표기

일반적인 경우 과학적인 발견이 언론에서 보도가 되는 시점은 해당 연구가 논문화되서 공개된 직후가 되겠다. 물론 극히 예외적으로 중대한 발표인 경우 (이런 경우라든지 이런 거는 말고)는 논문 발표 전에 언론에 공개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것은 그야말로 극히 예외적인 것이고, 결국은 논문 형태로 공개된 결과가 보도되는 것이 보통이다.

결국 현대의 학술논문은 어떤 형식으로도 동료리뷰 (Peer Review)를 거친 것들, 즉 해당 연구의 의의나 연구의 엄밀성을 판단해줄 수 있는 유일한 사람들인 유사분야 연구자 , 즉 같은장르를 파는 덕후들의 매서운 까임을 당하고 여기에서 어느정도 버텨낸 것들이라면 어느정도 ‘팩트검증’ 이 끝나지 않았을까 하는 것이라고 판단되므로 통상적으로 논문이 출판된 이후에야만 어느정도 보도의 가치가 생긴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을 위협하고 있는 일부 불순한 무리들이 복붙녀라든지 있어서 문제지만, 뭐 지금은 그 이야기 하려는 게 아니고..

그렇다면 과학 연구에 관련된 보도의 일차 소스는 연구 논문이므로 제일 중요한 것은 논문의 원문의 링크를 기사와 함께 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존하는 거의 모든 학술논문은 온라인에서 억세스할 수 있고, 최소한 논문의 초록 정도는 자유롭게 볼 수 있음. 논문에 대한 내용을 보도한다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고, 해당 분야에 대해서 그럴 만한 능력이 있는 독자라면 당연히 원 논문을 보고 싶을 것이다. 그렇다면 당연히 원문에 대한 링크를 제공해야지?

가령 미쿡의 N모일보에 이런 기사가 나왔다.

Screenshot 2014-10-11 13.16.38

 

그래서 두세번째 문단을 보면

Screenshot 2014-10-11 13.18.03

 

‘Study’ 에 있는 링크를 클릭하면

Screenshot 2014-10-11 13.19.20

 

N모잡지에 실린 원 논문으로 바로 이동한다. 그래서 나비덕후 혹은 유전학 덕후라면 좀 더 논문을 들이벼 파면서 기사에서 뭔 뻘소리를 썼는가 검증이 가능하다. 깔끔하죠?

그런데 국내 신문에 실린 어떤 기사를 보자. 특별히 기사를 고른 것도 아니고 아무기사나 집히는데로 찍은거다.

읽어보면 알겠지만 무슨대학 무슨 교수, 무슨대학 무슨 교수 이름은 줄줄 나오는데, 결국 연구가 발표된 것은 어디냐. 링크 따위는 없고 이게 다다.

Screenshot 2014-10-11 13.25.51

국제학술지 ‘임상연구저널’ 이 뭐냐. -.- 국제학술지라면 아무래도 영어 이름이 있을텐데, 영어 이름은 안 나와있다. 당연히 링크 따위는 없고.

그나마 이 기사를 읽는 사람이 사전 지식이 있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JCI) 라는 저널이 있는 줄은 알고 있었다. JCI라는 저널을 잘 모르는 사람은 ‘임상연구저널’ 이 어디 한두개냐! 하고 멘붕하고 있었을 걸? 그래서 구글 검색.

Screenshot 2014-10-11 13.27.37

그래서 홈페이지로 고고.

Screenshot 2014-10-11 13.29.45

 

그런데 해당 논문은 어떻게 찾아야 하나? 논문이 해당 저널에 한두개가 나는 것도 아니고..그래서 해당 연구를 주도한 사람이 이씨이기 때문에 Lee를 검색해 보았다.

Screenshot 2014-10-11 13.31.54

610개..근데 2014년에 나온 것이겠지..그래서 여기를 클릭해 보았다.

음 그래도 바로 안나와! 그래서 한줄한줄 찾고 있었다. 온라인판 7월 18일자라는데, 7월 18일자 없어! 결국 찾다보니 이것인 것 같았다.

Screenshot 2014-10-11 13.35.21

 

물론 자가포식 (Autophagy), 당뇨(diabetes)가 뭔지 알고 있었으니까 찾았겠지만 아마도 자신이 잘 모르는 분야의 논문이라면 이런 식으로 찾아가기가 더 힘들었을것이다.

그런데 왜 내가 원 논문을 찾는데 이런 시간을 들여야 하나? N모 타임즈처럼 기사에 링크 하나 걸어주면 쉬운데? 그런데 아마 링크를 걸면 쉽지만 거의 대부분의 한국 과학기사에 원 논문의 링크를 걸지 못하는 불편한 진실은 아마 다음과 같다고 생각한다.

1. 대개의 과학기사는 (국내 과학기사의 경우) 논문이 나왔는지의 여부는 상관없이 제공된 보도자료를 복붙하는 것만으로 ‘쓰여’ 진다. 제공된 보도자료를 그냥 복붙하니까 해당 논문이 있는지 없는지는 알지도 못하고 당연히 링크를 걸 능력도 없지.

2. 해외 과학기사의 경우에는 그냥 해외 언론에 보도가 되면 소위 ‘우라까이’ 를 해서 쓰여진다. 당연히 1차 소스를 가지고 읽고 쓰는게 아니니까 링크 따위는 못 건다.

3. 아마도 자신들이 원문의 링크를 가봐야 검은 것은 글자, 하얀 것은 스크린인 것밖에 모르므로, 링크를 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그러니 독자 너놈들이야 어쩌겠어….그런데 미안하다. 독자 중에서는 나같은 넘들도 있단다.

원래 논문의 링크를 하나 걸 수 있는 능력이나 성의도 없다는 것은 그 내용에 대해서는 당연히 전혀 이해를 못할수밖에 없고, 결국은 ‘보도자료를 써주는 사람’ 들에 의해서 좌우될 수 밖에 없다는 현실. 그러나 여기에 그럴싸한 저널의 이름이 들어가면 ‘내용은 몰라도 뭔가 있겠거니’ 하게 포장되서 선전된다. 그런 행태의 가장 극단적인 예가 얼마전에 영화로 만들어졌지?

아무튼 이 문제로 좀 더 나가면 말이 길어지므로 한마디만 하겠다. 똑바로 들어라.

1. 모든 논문출판을 근거로 하는 과학연구 보도는 해당 연구논문의 출처를 하이퍼링크로 달아라. 

2. 그게 싫으면 정확한 서지번호 및 출판저널의 영문을 명기해라. 

3. 그것도 싫으면 하다못해 논문 제목을 영문으로라도 명기해라. 구글이라도 하게.

4. 할 능력이 없으면 적어도 그런 거 할 만한 능력이 있는 사람이라고 고용해라. 요즘 노는 과학자 많다.

5. 다 싫으면 그냥 과학기사 내지마라. 어차피 과학기사 잘 안읽잖아. 그 지면에 ‘충격!’ 시리즈 넣어봐라

 지구정복 후에 쓴맛을 보기 싫으면 순순히 따르는 것이 좋을걸. 

스티브 잡스가 죽어도 애플은 안 망하지만..

스티브 잡스가 죽어도 앱흘은 안 망했다. 오히려 주가, 매출이 더 올랐다. 망했으면 좋겠다고 기도한 사람들은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건희가 병상에서 오늘 내일 하는 상황이 계속되더라도 쌈슝 직원들이 “우리 회사는 이제 망하는거냐 ㅠㅠ” 할 일은 없다. 물론 회사에 장기적인 영향이 없지야 않겠지만. 방가방가 마이나스의 손

기업체의 오너의 유고로 회사의 존립이 흔들릴 정도의 회사라면 규모가 작은 소기업이라든지 자영업 수준의 업체 정도랄까. 설령 그런 곳의 사장이 어느날 갑자기 사망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일자리를 찾아가면 그만이다.

그러나 아카데믹 리서치는 어떨까? 가령 해당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권위를 가지는 연구자가 있다고 하자. 스웨덴 관광가서 N모씨 얼굴이 들어있는 금붙이 하나 받아오는 것은 물론이고, 일년에 굴리는 연구비가 수백억원에 이르고, 밑에서 근무하는 박사급 연구원이 수십, 백명에 달하는..

아무리 그런 킹왕짱의 사람이라도 그 사람이 어느날 갑자기 급작스럽게 사망하거나 연구를 못하게 되는 상황이라면, 그리고 그 사람이 미쿡 혹은 한국의 연구자라면, 대개 그 밑의 연구원, 대학원생 등은…그 즉시 진로가 깝깝해지는 것이 보통이다. 물론 그것도 사람에 따라서 케바케지만서도.

이전에 주변에서 본 게 있다. 이전에 한때 적을 두던 학교에 해당 분야에서 미쿡에서 첫손가락에 꼽히는 소위 ‘대가’ 가 있었다. 포닥이 20-30명 정도 되고 대학원생, 테크니션 포함하여 50명에 이르는 소위 빅 랩이었다. 그런데 이 양반이 출근하던 중 주차장에서 heart attack 이 와서 바로 숨지셨다. (누군지 궁금하다면, 이 분 이야기다)

학과에서 그 양반 밑에 있던 사람들에게 “너네들 6개월 간은 샐러리를 보장해 줄께. 그 이후엔….” 이라고 이야기했다. (그동안 간접비를 받은게 얼마니 그정도는 해 주어야지) 그 이후 6개월 이내에 그 큰 랩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그 사람의 흔적으로 남아있는 것은 건물 앞에 심어져 있는 나무와 그 사람을 기념해서 심었다는 명패 하나.

“소기업에 다니다가 오너가 갑자기 사망해도 마찬가지가 아닌가” 라고 생각하실 분들이 있을 것이다. 어떻게 보면 마찬가지일수도 있지만, 한 가지 틀린 점이 있다. 포닥이나 대학원생등이 아카데믹 랩에서 얻는 것은 “급료” 만이 아니다. 보다 중요한 “보수” 는 “연구업적” 으로 나온다. 미쿡 같으면 여기에 덧붙여 “자기의 지도교수의 Recommendation Letter” 역시도 일종의 “반대급부” 라고나 할까. 일종의 자신의 “보수” 를 퇴직금 식으로 적립해 놓았다가 타가는 시스템이랄까. 그러나 보스가 유고되면 그런게 대개 싸그리 없어진다. 몇 년의 노력을 통해서 진행던 프로젝트라든가 그런게 없어지기도 하고..대학원생의 경우라면 대개 랩을 바꾸어서 몇 년 동안 진행되던 일을 백지화하고 새롭게 시작한다거나 하는 깝깝한 상황도 펼치지고..포닥이라면 한참 진행되던 연구를 논문화하지 못하고 다른 랩으로 옮겨야 한다거나 등등..

비록 교수가 갑작스럽게 유고하는 상황이 아닌 은퇴하거나 정년퇴직하는 상황이라고 해도 이런 식의 “1인 오너에 의한 Small Business” 식의 랩에서는 그동안 쌓아올린 역량이 한순간에 증발하는 일은 생길 수 밖에 없다.

반면, 일본식의 랩, 즉 한 연구실에 연구책임자 이외의 faculty가 있는 경우에는 이런 상황에서 좀 더 안전한 것 같다. Lab head가 유고되는 상황이라면 그 다음의 사람이 이어받으면 되니까. 물론 저명한 Lab head가 유고한 상황에서 뒤를 잇는 사람의 역량이 이전의 사람에 미치지 못한다면 문제가 있겠지만, 그것은 ‘1인 오너’ 시스템에서처럼 한순간에 그동안 쌓아올린 연구실의 역량이 와르르 무너지는 것에 비할 바는 아니다.

물론 그렇다고 일본식의 체제가 항상 우수해요..이런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다.  아무래도 연구비가 풍부하고 신진을 빠방하게 밀어줄 수 있는 여건에서는 ‘1인 오너’ 시스템의 연구실 운영이 좀 더 새로운 토픽을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상황이 될 테니까 말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는, 특히 한국과 같은 곳에서 현재와 같이 ‘1인 교수 책임제’ 시스템이 한국과학의 발전에 최적한 시스템인지에 대해서는 좀 곰곰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단지 교수가 유고되는 상황이 아니라, 처음 자리잡는 신진연구자가 제대로 된 지원도 없이 (극히 일부의 대학을 제외하면 한국 대학에서는 제대로 된 ‘ setup fund’ 라는 개념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서도 정년보장 받으려면 Nature 논문 내삼까지는 아니더라도 업적점수 몇백퍼센트 채워오삼 하지 ㅠ) 세파에서 독립된 연구자로 살아남을 수 있는가와도 관련이 있다.

한국의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한국의 학계는 미쿡에서 유학한 사람들에 의해서 이 시스템이 모방되어 온 경우가 많다. 때로는 이러한 시스템이 그쪽에서 정립된 맥락을 모르면서도 ‘아 내가 본 미쿡의 시스템은 이렇던데, 거기가 짱이라능! 국내 도입이 시급합니다’ 라고 해서 들어온 것들도 수두룩하다. 누군가도 미쿡물을 10년 이상 먹었다는 점에서 이러한 비판에서 자유롭지는 못할수도 있다만 그러나 이제 한번쯤은 그런 것들이 과연 제대로 자리를 잡고 있는지, 우리의 현실과는 적합한지를 곰곰히 생각해볼 때가 아닐까 싶다. 어디 그런게 한두개이긴 하겠냐만.